본문 바로가기
  • 한.중.일 - 문서 통역 , 반도체 뉴스
728x90
반응형
SMALL

Semiconductor236

TEL, 400단 적층 3D 낸드 식각 기술 개발 도쿄엘렉트론(TEL)이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400단 이상 적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양산 중인 200단급 대비 두배 적층이 가능한 기술이다. TEL은 3차원(3D) 낸드 단수를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식각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식각은 실리콘 웨이퍼에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회로 형상을 만드는데 필수다. 낸드를 높이 쌓으려면 깊은 구멍을 뚫어 전하를 많이 축적해야 하는데, 식각공정이 이를 좌우한다. TEL 최신 식각 기술은 극저온에서 높은 종횡비로 10마이크로미터(㎛) 깊이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종횡비는 깊이나 높이를 밑변 지름으로 나눈 비율로, 높은 종횡비를 구현해야 3D 낸드 같은 첨단 메모리 반도체를 쉽게 적층할 수 있다. TEL에 따르면 해당 기술.. 2023. 6. 19.
디에이테크, LG전자 59억원 수주 계약 "누적 수주액 작년 매출 돌파" 디에이테크놀로지가 상반기 누적 수주액이 2022년 연간 매출을 넘어섰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LG전자와 59억원 규모 이차전지 조립공정 제조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계약기간은 오는 2024년 12월 31일까지이다. 6월 기준 디에이테크놀로지 누적 수주 금액은 약 590억원으로 지난해 매출(532억원)을 돌파했다. 올 하반기에도 배터리 주요 고객사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수주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정책에 따라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현지 진출과 합작공장 증설 등 투자를 확대해 중국 의존도 낮추기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프레스와 레이저를 이용해 전극의 양극 및 음극을 분리하는 '노칭(Notching)'.. 2023. 6. 16.
새로운 코피티션 시대 삼성전자가 현대자동차에 프리미엄 인포테인먼트(IVI)용 프로세서를 공급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삼성전자 IVI 반도체가 현대차에 탑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두 기업이 손잡았다는 점에서 화제가 된 뉴스였다. 두 회사는 최근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 협력에서도 새로운 획을 그었다. 현대차 ‘제네시스’ 차기 모델에 들어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한때 자동차에서 경쟁했던 탓에 미지근했던 양사 관계가 협력 모드로 전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차와 삼성을 이어준 OLED는 삼성과 LG 사이 협력 키워드로도 연결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전파인증을 마친 83형 OLED TV에 LG디스플레이 패널을 탑재, 하반기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 2023. 6. 13.
삼성·SK하이닉스, 6개월새 최고층 낸드 양산 신기록 경쟁 삼성전자 내년 9세대 V낸드 양산..."中 232단 개발했지만 양산 의문" 국내 메모리 반도체 회사들이 세계에서 층수가 가장 높은 낸드플래시 양산 신기록을 6개월 만에 엎치락뒤치락 갈아치웠다. 중국도 230단 이상을 개발했지만 양산 기술은 부족하다는 평이 나온다. 반도체 업계 모 관계자는 9일 지디넷코리아와의 통화에서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수율이 양산하는 데 관건”이라며 “한국과 중국 반도체 기술은 성숙도가 다르다”고 말했다. 일정한 품질로 꾸준히 많이 만들어내려면 다양한 공정 기술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낸드는 D램과 달리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남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다. 셀(cell)을 수직으로 높이 쌓을수록 저장 용량이 늘어난다. 3차원 셀을 바닥부터 꼭대기까지 수직으로 균일하게 뚫는 공정 .. 2023. 6. 13.
美, 中반도체 규제속… 中시장 파고드는 유럽 STM社, 中충칭에 4조원 합작 벤처 美가 수출규제한 반도체 생산 계획 미국이 중국을 배제하는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나선 가운데 유럽에 기반을 둔 글로벌 반도체 회사가 중국과 대규모 합작 투자에 나섰다. 미국의 대중(對中) 수출 규제로 생기는 중국 내 반도체 공백을 유럽 기업이 메우는 모습이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유럽과 반도체 기술 확보가 절실한 중국의 요구가 서로 맞아떨어졌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스위스 제네바에 본사를 둔 자동차 반도체 강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와 중국 싼안광뎬(三安光電)이 전날 중국 주요 제조 허브인 충칭에 32억 달러(약 4조1800억 원) 규모 반도체 합작 벤처 설립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 합작 벤처에는 충칭시 정.. 2023. 6. 13.
애플·테슬라·삼성 … 빅테크, 반도체 자급자족 나섰다 자체설계 칩이 제품성능 좌우 MR 헤드셋에 애플표 반도체 테슬라,자율주행칩 직접 개발 메타·구글은 AI반도체 설계 삼성, 갤럭시 시리즈 전용칩 제조업체가 직접 설계해 만든 반도체가 스마트폰, 자동차 등 완성품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키워드로 떠올랐다. 맞춤형 반도체가 완성품 성능을 높이고 외부 반도체 의존도를 낮춰 리스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애플, 테슬라 등 전 세계 주요 제조업체들이 반도체 자급자족에 나선 이유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 5일(현지시간) 열린 '연례 세계 개발자회의(WWDC 2023)'에서 공개한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에는 '애플표' 반도체인 M2와 R1이 탑재됐다. 애플 컴퓨터 맥에 주로 사용되는 M2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여.. 2023. 6. 13.
中 반도체 설비 시장, 올해 55조 돌파 전망 中 반도체 설비 시장, 2017년 이후 2년 만에 63% 성장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디지털화로 반도체 수요 급증 中 정부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도 효과 중국 반도체 관련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디지털화 추세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데다 중국 정부도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다만 반도체 설비·부품의 낮은 자급률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될 전망이다. 11일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설비 시장은 지난 2017년 554억 위안 (약 10조1100억 원)에서 2019년 905억 위안(약 16조5200억 원)으로 2년 만에 63% 성장했다. 2020년에는 전년 대비 39.2% 증가한 1260억 위안(약 23조 원)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거듭났다. 코로나19 .. 2023. 6. 13.
네이버와 손잡은 삼성전자…'삼성 전용 챗GPT' 만든다 기업용 '생성형 AI' 첫 시도 '삼성 전용 챗GPT' 네이버와 공동개발, 첨단 반도체 설계에 활용 삼성전자, 올해 안에 출시 목표 기술·데이터 유출 걱정 없어 자유롭게 업무에 활용 가능 네이버는 기업용 AI 수주 길 열려삼성전자가 네이버와 함께 반도체(DS)부문 임직원 전용으로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이 서비스가 나오면 DS부문 임직원들은 기밀 유출 걱정 없이 AI 챗봇 등을 업무에 활용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에도 자사 생성형 AI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글로벌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연내 DS부문 전용 생성형 AI 개발 14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네이버는 ‘DS부문 전용 생성형.. 2023. 5. 22.
美 수출 깐깐해진다… 중국산 소재·부품 사용 '주의보' 美, 수입품 우회조사 역대 최다 무협 "작년 중국산 17건 등 26건" 그중 1건은 "한국 경유" 첫 지목 한국산 철강 3건도 조사 개시 미·중 갈등 확산으로 미국이 수입품에 대한 우회조사를 강화하는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한국 기업들도 대미 수출 시 중국산 소재·부품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미국 우회조사의 급증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신규 우회조사는 26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을 대상으로 시작된 조사가 1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대만과 인도도 3건으로 집계됐다. 한국을 대상으로도 한국산 철강제품이 베트남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된 3건에 관한 우회조사가 시작됐다. 미국의 우회조사 유형별로는 제3.. 2023. 5. 22.
삼성전자, 최첨단 12나노급 D램 세계 첫 양산 소비전력 23%↓·생산성 20%↑ 삼성전자, 최첨단 12나노급 D램 세계 첫 양산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회로 선폭 12나노미터(㎚·1㎚=10억분의 1m)급 D램 양산에 성공했다. 고성능 신제품을 앞세워 서버용 D램 시장을 장악하려는 목적으로 분석된다. 반도체업계에선 삼성전자가 D램 ‘초격차’ 기술을 통해 반도체 불황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최첨단 12㎚ 공정에서 16기가비트(Gb) 더블데이터레이트5(DDR5) D램 양산을 시작했다”고 18일 발표했다. 12㎚는 반도체에서 전자가 다니는 회로의 폭(선폭)을 뜻한다. 선폭이 좁을수록 반도체 성능이 개선되고 전력 효율은 높아진다. 12㎚급 D램을 양산한 것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다. 경쟁사들은 14㎚ 수준에 머물러.. 2023. 5. 22.
일본 TEL '비밀병기' 하이브리드 식각기, 삼성 내 장비 지형도 바꾸나 TEL 새 장비에 美 램리서치 대응책 고심 韓 ATPC은 TEL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 중 세계 4위권 반도체 장비업체 일본 도쿄일렉트론(TEL)이 신규 개발한 하이브리드 옥사이드 식각(Etch) 장비가 업계서 화제다. 식각 속도가 기존 장비 대비 현저히 빠른데다, 작업 후 결과물 완성도가 높아서 소자 업계, 특히 삼성전자가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TEL은 하이브리드 옥사이드 식각기 데모 장비를 조만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가 지정한 공간에 설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TEL의 신규 옥사이드 식각 장비는 에너지 소스로 전통적인 무선주파수(RF) 제너레이터와 함께 직류(DC) 펄스(Pulse) 제너레이터를 함께 탑재한 것이 기존 장비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식각 .. 2023. 5. 22.
중국공장 지속할 시간 번 K반도체 … 美보조금 신청도 속도낼듯 美, 대중 수출통제 유예 연장 내년 10월까지 첨단 장비 반입 中공장 시설 업그레이드 가능 동맹 배려한 美정부 정책에 삼성, 반도체 보조금 곧 신청 미국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에 대한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 유예 조치를 연장하기로 하면서 이들 기업의 미국 반도체지원법(CHIPS Act)에 따른 반도체 생산지원금 신청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반도체 생산지원금의 '가드레일(안전망)' 조항과 장비 반입 제한 등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걷혔기 때문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조만간 미국 정부에 반도체 생산지원금을 신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170억달러(약 22조5000억원)를 투입해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다만 테일러 공장의 건설비용이 예상.. 2023. 5. 10.
실적반등 노리는 삼성…'갤Z 조기출시' 승부수 폴드·플립 5, 7월말 공개 예년보다 2주 정도 앞당겨 아이폰15 나오기 전 실적 극대화 구글·샤오미 등 견제 포석도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플립5의 공개 시점을 오는 7월 말로 결정했다. 예년보다 2주 정도 앞당겼다. 9월 경쟁사 애플의 아이폰15 출시를 앞둔 상황에서 갤럭시 판매 시점을 앞당겨 ‘신제품 출시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구글 등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는 경쟁사들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다. 업계에선 올해 2분기 영업적자가 유력한 삼성전자가 3분기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해 ‘초강수’를 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5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MX(모바일경험)사업부는 갤럭시 Z 폴드·플립5의 공개 시점을 7월 넷째 주로 잠정 결정했다... 2023. 5. 10.
日, 2030년 반도체 매출액 140조 이상 포부 반도체 생산능력 강화…TSMC·마이크론 등 투자 유치 설계 기술 확보·미래 기술 연구 일본 경제산업성이 2030년까지 반도체 매출액을 140조원 이상으로 확대한다. △일본 내 제조 거점 확보 △설계 기술 개발 △양자컴퓨터 등 반도체가 쓰일 미래 기술 연구를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6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 도쿄무역관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2021년 6월 '반도체·디지털산업 전략'을 수립했다. 경제산업성은 디지털 인프라, 디지털 산업과 함께 반도체를 핵심 기술 요소로 설정했다. 국내 반도체 매출액을 현재 5조엔(약 49조원)에서 2030년 15조엔(약 149조원)으로 높이겠다는 목표 아래 크게 세 가지 단계로 로드맵을 짰다. 1단계로 일본 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 2023. 5. 10.
“한국 반도체 진짜 큰일났다?” 일본 50조·독일 7조 ‘쩐의 전쟁’ 반격 반도체를 둘러싼 전세계 주요국의 ‘쩐의 전쟁’이 막을 올렸습니다. 미국에 이어 일본과 유럽도 자국 내 반도체 역량 확대를 위한 수조원의 지원금을 쏟아붓기 시작했습니다. 그간 전세계 반도체 공급망의 70% 가량을 차지하던 한국과 대만에서 벗어나겠다는 강력한 의지입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0년 후면 반도체 시장이 지금과 전혀 다르게 변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자칫하면 20년 넘게 지켜온 ‘반도체 강국’이라는 타이틀을 다른 누군가에게 넘겨줘야 할 지도 모릅니다. 조 단위의 총알을 장착하고 공격적으로 반도체 역량을 강화하는 강대국들 앞에서 한국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한국·대만 벗어나겠다” 돈으로 승부 EU 독일 최대 반도체 기업인 ‘인피니언’은 지난 2일(현지시간) 독일 드레스덴에서 신규 반도체 공장 착.. 2023. 5. 10.
* OPPO칩 R&D센터 건설 부지 입창 성공 -45억왠 투자 예정 * OPPO칩 R&D센터 건설 부지 입창 성공 -45억왠 투자 예정 1. PJT명: OPPO칩 R&D센터 건설 2. 회사 : OPPO https://mp.weixin.qq.com/s/5wP79zu89dKHZnSQTq2Lkg 投资45亿!OPPO芯片研发中心项目用地成功摘牌 半导体圈(微信:icquanzi) mp.weixin.qq.com 2022. 12. 29.
* 중국 광동성 헤비급 반도체 회사 설립 * 중국 광동성 헤비급 반도체 회사 설립 1. 자금: 쯔광 그룹 80% + 광동성 정부 20% 2. 등록 자본: 1억왠 (약 200억) 3. 회사 대표: 王和生(왕허셩) 4. 업무: 집적 회로 칩 설계 및 서비스, 집적 회로 칩 및 제품 제조 등이 포함 5. 지역 : 광동성 6. 기대 효과: ->25년 광동성 반도체 + PCB 영업 수익 : 4000억왠 https://mp.weixin.qq.com/s/artGgsvHpI56gWDizaq4dw 目标4000亿的广东,再添重量级半导体公司 mp.weixin.qq.com 2022. 12. 29.
* 중국 반도체 12인치 공장 건설 - 역대급!!! ->중국 광저우 1조원 이상 투자 -> 22년 12월 건설 개시 -> 24년 상방기 양산 목표 https://mp.weixin.qq.com/s/jFycaSjqxPRuLkhDuhZy2A 70亿!开工!广州:又一12寸晶圆项目! mp.weixin.qq.com 2022. 12. 29.
Fujifilm - 평택 2공장 - 센서 필터 제작 공장 건설 1. Fujifilm 2. 평택 2공장 - 센서 필터 제작 공장 건설 => 1공장 충남 - 화학 기계 연마(CMP) 슬러리 생산 3. 24년 상반기 양산 4. 투자금 미정 * 혹시 이쪽에 아는 사람 없는지요? https://mp.weixin.qq.com/s/BWFanFY99Yal0_ZuLTB_XA 富士韩国建半导体厂:2024 年春季投入运营 芯榜(icrank)消息 mp.weixin.qq.com 2022. 12. 29.
BEI JING 주요 반도체 관련 회사 1. 芯片设计公司 / CHIP 설계 회사 2. 晶圆代工制造厂 / Wafer 제조 공장 3. 半导体材料厂商 / 반도체 자재 업체 4. 半导体设备厂商 / 반도체 설비 업체 2022. 4. 26.
중국 반도체 대안회사 명단 발표( 카테고리 - 70개) 1. 移动CPU / 이동 CPU 2. 计算机CPU/MPU / 계산기 CPU/MPU 3. IP 4. GPU 5. ASIC 6. DSP 7. FPGA 8. EDA 9. MCU 10. 存储芯片 / memory chip 11. 模拟芯片 / simulation chip 12. 电源IC / Power IC 13. 功率器件 / power device 14. IGBT 15. MOSFET 16. CMOS 17. 液晶芯片 / liquid crystal chip 18. 触控芯片 / Touch chip 19. 指纹识别芯片 / fingerprint recognition chip 20. 人脸识别/虹膜 / facial recognition / iris 21. 射频芯片 / radio frequency chip 22. WiFi芯片 /.. 2022. 4. 22.
중국 반도체 100대 기업 List 2022. 4. 21.
(반도체) - chang sha 160위안 반도체 사업 계획 2차 건설 - 삼안 반도체 Chang sha 삼안 반도체 사업의 주요 제품은 이미 500개 고객에게 샘플을 보냈고, 검증을 통과한 고객은 300개가 넘는다.삼안반도체는 현재 2차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창사삼안 반도체 사업은 총 160억 위안을 투자하여 주로 자체 지적재산권을 가진 탄화규소 질화갈륨 등 광대역 소재 위주의 3세대 반도체를 건설하였다.산업체 생산 및 연구개발 기지,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신에너지 자동차, 고속철도 기관차, 항공우주 및 무선(5G) 통신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트는 2기로 나누어 건설하는데, 프로젝트 1기는 주로 탄화규소 장정, 기판, 에피, 칩, 소자 패키징 등의 공장 건물 및 관련 부대시설 건설을 포함하며, 프로젝트가 전면적으로 건설되면 두 갈래로 형성된다.병행하는 탄화규소의.. 2022. 4. 13.
2021년 반도체 업적 TOP 10 & 최신 순위 - TSMC제외 2022. 1. 27.
2024년, 전세계에 85개의 신규 웨이퍼 공장이 신설 List 2022. 1. 27.
반도체 제조 공정 1. 반도체 개요 반도체산업은 전자, 통신, 정보사업 부문과 함께 두드러진 발전과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산업으로 정보화 사회 진입과 첨단산업 발전의 핵심요소일 뿐만 아니라 재래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부품으로서 그 수요가 급속히 확대, 다양화되고 있다. 반면 막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며, 기술자체의 개발에도 많은 연구개발 투자가 소요되 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가 타산업보다 현저히 높은 특징을 가지는데 이것은 반도체 자체가 그 제조과정이 아주 민감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술혁신의 속도가 빠르며 제 품의 수명 주기가 타 산업에 비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도체는 크게 1-다이오드, 2-트랜지스터, 3-IC(Int egr at ed Circuit : 직접회로)등.. 2022. 1. 20.
728x90
반응형
LIST